본문 바로가기

파이썬정리6

[PYTHON] 제어문 (IF문 조건문, FOR문 반복문) 제어문이란, 말 그대로 코드의 흐름을 제어하는 문법이죠. 이를 통해 조건에 따라 다른 코드를 실행하거나, 특정 코드를 반복적으로 실행하게 할 수 있습니다. if 문 if 문은 특정 조건에 따라 코드를 실행하게 하려는 경우에 사용합니다. Python에서는 if 문을 사용할 때, 조건이 참인 경우에만 코드 블럭을 실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무시합니다. 이때 코드 블럭은 들여쓰기로 지정하게 되니, Python 코드를 작성할 때 들여쓰기에 주의해야 합니다. 단순 if 문 # 변수 선언 my_age = 17 # 20세 이상이면 '성인' 출력 if my_age >= 20: print('성인') 위의 예제에서는 my_age가 20 이상인 경우 '성인'을 출력하도록 했습니다. if ~ else 문 if ~ els.. 2024. 2. 26.
[PYTHON] 딕셔너리 딕셔너리는 키(Key)와 값(Value)의 쌍으로 이루어진 자료형입니다. 딕셔너리는 중괄호({ })를 사용하여 선언하며, {Key1: Value1, Key2: Value2, Key3: Value3}의 형태를 가집니다. 딕셔너리는 순서의 개념이 없어서 키를 사용하여 값을 확인합니다. 딕셔너리 만들기 # 딕셔너리 생성 word = {'apple': '사과', 'banana': ['바나나', '빠나나'], 'cherry': '체리'} # 요소 확인 print(word) # {'apple': '사과', 'banana': ['바나나', '빠나나'], 'cherry': '체리'} print(word['apple']) # '사과' print(word['cherry']) # '체리' print(word['banana'.. 2024. 2. 25.
[PYTHON] 튜플, 집합 튜플 튜플은 리스트와 매우 비슷하게 동작하는데요,튜플은 리스트와 비슷하게 여러 요소를 담을 수 있지만, 한 번 만들어진 튜플의 요소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이 특징 때문에 튜플은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관하고 싶을 때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또한, 리스트와는 다르게 튜플은 괄호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튜플 만들기 튜플은 소괄호 '()'를 사용하여 요소들을 감싸서 생성합니다. 하지만 괄호는 생략 가능하며, 이는 튜플만의 독특한 특징입니다. # 튜플 생성 score = (90, 85, 70) # 소괄호 사용 score2 = 90, 85, 70 # 괄호 생략 # 빈 튜플 만들기 score = tuple() # 요소가 하나인 튜플 만들기 score = (90, ) # 90, # 튜플을 잘못 만든 예 score = (.. 2024. 2. 25.
[PYTHON] 리스트 리스트는 여러 값을 묶어서 갖는 컨테이너 자료형으로, 다양한 데이터(숫자, 문자, 파일, 이미지 등)를 요소로 갖을 수 있습니다. 리스트 만들기 리스트는 대괄호([ ]) 안에 콤마로 구분해 값을 나열합니다. 빈 리스트를 만들거나, 여러 자료형의 값을 요소로 갖는 리스트, 리스트를 요소로 갖는 리스트(2차원 리스트) 등 다양한 형태의 리스트를 만들 수 있습니다. # 빈 리스트 만들기 score1 = [] score2 = list() # 여러 자료형을 요소로 갖는 리스트 mixed_list = [1, "apple", [1, 2, 3]] # 리스트를 요소로 갖는 리스트 list_of_list = [[1, 2, 3], [4, 5, 6], [7, 8, 9]] 리스트 만들기 with range() 일련의 요소를 갖.. 2024. 2. 25.